반응형
고인의 마지막을 예우하는 가장 중요한 순간, 장례식 예절을 제대로 아시나요? 향 피우는 법부터 조의금 예절, 조화 위치까지 모두 정리했습니다.
🙏 장례식 예절이 중요한 이유
장례식은 고인을 추모하고 유가족에게 위로를 전하는 엄숙한 자리입니다. 올바른 예절을 알고 참석하면, 실례 없이 진심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.
👔 장례식 복장 예절
남성
- 검정색 정장, 흰 셔츠, 검정 넥타이
- 검정 양말과 단정한 검정 구두 착용
여성
- 검정 원피스 또는 투피스 정장
- 검정 스타킹, 낮은 굽의 구두
- 액세서리, 향수, 진한 화장은 자제
⚠️ 밝은 색상, 화려한 무늬, 캐주얼 복장은 금지
🙇 조문 순서와 절차
- 장례식장 도착 후, 빈소 위치 확인
- 분향 또는 헌화
- 묵념 또는 절 (2배례)
- 유가족에게 조심스럽게 인사
- 조의금 전달 및 조문록 작성
- 식사 권유 시 예의 있게 응하기 (필수는 아님)
🕯️ 향 피우는 방법 (불교식)
불교식 장례에서는 향을 피우고 절을 하는 것이 기본 예절입니다.
향 피우는 순서
- 향 1개 또는 3개를 향로에 피운다
- 입김으로 끄지 않고 손으로 부채질
- 향을 향로에 꽂은 후, 두 번 절
- 잠시 묵념
🙅 입김으로 향을 끄는 행위는 무례로 여겨집니다.

💐 헌화하는 방법 (기독교/천주교식)
향 대신 흰 국화나 백합을 헌화합니다.
헌화 순서
- 꽃을 들고 고인을 바라본다
- 꽃봉오리가 고인 쪽을 향하도록 내려놓기
- 묵념 후 인사 또는 성호(천주교)
📌 기독교: 절 대신 묵념
📌 천주교: 성호 긋고 묵념
🏵️ 조화(근조 화환) 놓는 위치
- 조화는 일반적으로 빈소 입구 양옆 또는 영정 근처 양측에 배치
- 가까운 사이일수록 중심부에 가까운 위치에 놓임
- 리본 문구 예시:
- “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- ○○○ 올림”
- “근조 - 주식회사 ○○○ 일동”
⚠️ 이름은 단체 또는 개인으로 작성
💌 조의금 예절
봉투 작성법
- 앞면: "부의" 또는 "조의"
- 뒷면 또는 안쪽: 이름, 연락처, 짧은 인사말
금액 예시
- 지인: 3~5만 원
- 친한 친구: 5~10만 원
- 회사 상사/동료: 5~10만 원
- 가까운 친척: 10만 원 이상
⚠️ 4만 원(사)은 피하고, 홀수 단위 선호
💬 장례식 인사말 예시
유가족에게는 조용하고 정중한 말로 위로합니다.
- “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.”
- “많이 힘드시죠. 마음 깊이 애도합니다.”
- “고인의 평안을 기원합니다.”
✨ 위로보다 함께 마음을 나누는 태도가 중요합니다.
⛪ 종교별 장례식 예절 차이
종교 | 분향 방식 | 인사 방식 |
불교 | 향 피우기 | 두 번 절 |
기독교 | 헌화 | 묵념 |
천주교 | 헌화 | 성호 + 묵념 |
무교/기타 | 유가족 및 고인 뜻에 따름 | 자유롭게 예우 |
❗ 장례식장에서 피해야 할 행동
- 장례식 사진·영상 촬영
- 큰 소리 대화, 웃음
- 음식 과음·과식
- 고인에 대한 부적절한 언급
- 유가족에게 과도한 질문
✅ 마무리하며
장례식은 슬픔 속에서도 예의와 배려가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자리입니다. 이번 글을 통해 장례식 예절을 정확히 알고, 고인을 정중히 예우하시길 바랍니다.
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, 공감/공유 부탁드립니다. 🙏
더 궁금한 장례 관련 문화나 조문 상황별 팁이 필요하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