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국제무역 시대에 관세는 더 이상 기업만의 이슈가 아닙니다. 해외직구를 즐기는 소비자부터, 무역을 준비하는 창업자까지 꼭 알아야 할 개념이죠.
이 글에서는 관세의 개념, 목적, 종류, 계산 방식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.
관세란?
**관세(關稅, Tariff)**는 외국에서 수입되는 상품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.
국가는 이를 통해 국내 산업을 보호하고, 세수를 확보하며, 무역 정책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.

관세의 목적
목적 | 설명 |
국내 산업 보호 | 값싼 외국 제품의 시장 침투 방지 |
정부 재정 확보 | 세금으로 국가 재정 충당 |
무역 정책 수단 | 외교·무역 협상 도구 |
환경·안전 보호 | 특정 제품의 수입 억제 수단 |
관세의 종류
종류 | 설명 |
종가세 | 상품 가격 기준(%)으로 부과 |
종량세 | 수량, 중량 기준으로 부과 |
혼합세 | 종가세 + 종량세 혼합 방식 |
보복관세 | 상대국의 부당한 조치에 대한 대응 |
상계관세 | 외국 정부의 보조금으로 인한 가격 왜곡 조정 |
덤핑방지관세 | 초저가 수출품에 대응하는 관세 |
관세는 어떻게 계산되나요?
관세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.
관세 = 과세가격 × 세율
※ 과세가격 = 상품 가격 + 보험료 + 운임 (CIF 기준)
예시
- 수입상품 가격: $1,000
- 운송비/보험료 포함(CIF): $1,200
- 관세율: 8%
→ 관세 = $1,200 × 8% = $96
누가 관세를 내나요?
- 수입자는 수입신고 시점에 관세를 납부합니다.
- 해외직구 시에는 배송 대행사나 택배사가 납부를 대행합니다.
FTA로 관세를 줄일 수 있나요?
한국은 미국, EU, 아세안 등 다양한 국가와 **FTA(자유무역협정)**를 체결하고 있습니다.
FTA 원산지 기준을 충족하면 해당 품목에 대해 관세가 면제되거나 인하될 수 있습니다.
대표 협정:
- 한-미 FTA
- 한-EU FTA
- RCEP(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)
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해외 직구 시 관세는 언제부터 부과되나요?
→ 일반적으로 미화 150달러 초과 시 부과됩니다.
단, 미국발 제품은 200달러까지 면세됩니다.
Q2. 수출에도 관세가 있나요?
→ 대부분의 경우 수출에는 관세가 없습니다. 다만 일부 전략물자는 예외입니다.
Q3. 관세 납부는 언제 하나요?
→ 통관 과정에서 수입신고 시점에 납부하며, 개인은 택배사를 통해 자동 납부됩니다.
Q4. FTA 혜택은 어떻게 받나요?
→ 원산지 증명서를 제출하면 FTA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Q5. 관세율은 어디서 확인하나요?
→ 관세청 홈페이지 또는 UNIPASS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요약 정리
항목 | 내용 |
정의 | 외국 제품 수입 시 부과되는 세금 |
계산법 | 과세가격(CIF 기준) × 세율 |
주요 목적 | 국내 산업 보호, 세수 확보, 무역 조절 |
FTA 혜택 | 원산지 충족 시 면세 또는 감면 가능 |
확인처 | 관세청, 유니패스(UNIPASS) |
출처
- 관세청 공식 홈페이지: https://www.customs.go.kr
- UNIPASS 통관포털: https://unipass.customs.go.kr
반응형